월 500씩 벌어도 아이 키우는게 정말 힘든 이유
인터넷에 월 500 벌어도 아이 낳기 두려운 이유라고 돌아다니는 SBS스페셜 캡처 부분.
중3, 초5 자녀를 둔 한 어머니.
명당 100만원, 총 200만원 정도의 비용을 사교육비로 지출하는 상황.
사교육 비용으로 만만치않은 액수의 금액을 지출하면서 드는 생각은
비용 대비 아이들의 효율이 받쳐주지 못한다는 현실.
이번엔 한 재무설계 회사 대표의 인터뷰
그가 말하기에 아주 기본적인 최소한의 생활을 하는데 드는 비용은
월에 200~250만원 정도가 필요하다.
하지만 여기에 사교육비가 보태지면
생활비에서 마이너스가 되어 버리는 셈.
당연히 부모 입장에서의 노후 대비는 있을 수가 없다.
어느 영어학원 원장님의 인터뷰.
“사교육에 종사하지만 사교육은 없어져야 된다고 생각한다”
만약 내 자식이 상위 1%안에 드는 성적이라면
빚을 내는 것을 감수하더라도 공부를 시켜야하지만
문제는
반 5등 이하라면 인서울이 간당간당한 상황이기 때문.
반에서 상위권을 제외한 학생들은 모두 들러리인 셈.
들러리인 학생들에게 사교육비를 투자할 가치가 있을까?
대학까지 뒷바라지 하고 나면
“빠듯한 생활 + 노후자금 0원”거기에 더해 그런 뒷바라지가 성공한다는 보장도 점점 안 나오는 상황..
한편 이를 본 누리꾼들은 “그 돈으로 그냥 유학을 보내는게 외려 쌈…” “애들 사교육비들일 바에 부모님이 공부하시는 게 빠를 수도 있습니다..” “근데 사교육이 없어진다고 하더라도 불법으로라도 계속 있을 것 같은데…” 등의 반응을 보였다.
과연 당신의 생각은?
2019. 저작권자(c) 지식의 정석 (무단 사용-재배포 금지) / 사진 = SBS 스페셜 캡처
월급 300, 애 둘 있는 집이 200씩 저축할 수 있는 이유
한달 월급 300만원을 가지고 아이 둘을 키우는 부부가 매달 200만원 씩 저축한다?
어떻게 그런 생활이 가능한지 부부의 모습을 통해 알아보자.
월 200씩 저축한다는 집안의 저녁 풍경.
어딘가 조금 어두운 느낌이 든다.
어둠 속에서 들려오는 양치질 소리.
부부의 두 아들이 양치를 하고 있었다.
이 집의 규칙
1. 글을 봐야할 때는 거실 불을 켠다.
2. TV 볼 때는 거실 불을 끈다.
서로 얼굴 보고 있을 거 아니니 불을 꺼도 된다는 어머니.
이 집안의 저녁 풍경은 다른 집에 비해 어두운 편이다.
조금은 색다르다는 이 집만의 화장실 문화.
형제가 화장실을 쓸거냐 물어본다.
한번 볼일을 보고는 물을 바로 내리지 않는 모양이다.
게다가 물을 내리는 방식 또한 남다른데
세탁물을 받아서 변기에 내린다는 아들.
보통 흘려버리는 세탁물을 이 집은 대야에 미리 받아둔다.
엄마는 그 세탁물을 모으고
45리터의 물을 절약할 수 있다는 어머니.
변기 뚜겅을 열어보니 물이 비어있다.
변기 수도를 잠궈 놓은 지 몇 달이나 되었다고 한다.
한달 수도 요금이 4,590원 ㄷㄷㄷ
어머니는 이렇게 300만원이 되지 않는 남편의 월급을 관리하며
하우스푸어를 3년 만에 청산하고 30평대 아파트를 장만했다고 한다.
남편 월급 300만원 중 저축만 200만원 이상을 한다.
어머니가 관리하는 가계부 파일.
그렇게 5년간 1억 6천만원 이상을 모았다.
남편의 아내 자랑 타임.
“내가 아내를 잘 구했구나, 결혼 잘했구나”
이번엔 가족들의 외식 타임.
애들이 기름값을 준다..? 라니
아빠 차를 타려면 아이들도 기름값을 내야한다는 아버지의 말.
한달에 한 두번 외식한다는 아버지.
생각보다 더 어른스러운 아이들의 대답ㅋㅋㅋㅋ
다시 침침한 집으로 돌아와 아이들은 거실에서 아버지를 안마해주고 있다.
신성한 노동의 댓가로 용돈을 받는 아이들.
아이들의 대답이 항상 시선을 강탈한다ㅋㅋㅋㅋㅋ
아이들은 용돈으로 오백원씩 받았다.
용돈으로 뭘 할지 궁금해지는데..
바로 은행으로 달려가는 아이들 통장에 바로 바로 용돈을 저금한다고.
조금씩 모아 꽤 많은 돈을 모았다.
항상 용돈을 받을 때마다 은행으로 달려가는 모양이다.
아이들은 본인의 충치 치료비도 용돈에서 낸다고..
단호한 어머니
정작 아이들은 덤덤하지만
충치가 없다는 말에 안심한다.
이것이 이 부부의 육아 방식이자 모토.
네 가족이 하나의 팀 처럼 끈끈하게 이뤄져있다고.
한편 이를 본 누리꾼들은 “와… 대단하시다” “아… 전 저렇게 못 살 것 같아요 매일 펑펑 쓰고 다닐듯 ㅋㅋㅋ” “대단하시긴하다….근데 .. 저렇게까지살고싶진않음..” “내눈엔 그저 아동학대같음ㅠㅠ” “용돈 깎일까봐 아픈거 참으면 어쩌나 생각 드네요”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