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5년 10월 본격적으로 정식 운영을 시작한 서울특별시 공공자전거 서비스인 ‘따릉이’.
따릉이는 무인 공공자전거 대여 서비스로, 웹사이트나 따릉이 앱을 이용해 편리하게 대여할 수 있어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과거 사람들이 ‘따릉이’로 한다는 것이 있어 논란이 생겨났었다. 이에 서울시는 “하지말라”는 경고 조치를 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소년들의 도난 문제뿐만 아니라 ‘상업적 이용’을 하는 사례가 발생했었다.
특히 공공자산인 ‘따릉이’를 타고 ‘배달’ 아르바이트에 나서는 사람이 많아져 문제가 되고 있다.
일반인이 배달원으로 참여하는 업체들이 늘어나며, 쉽게 대여하고 반납할 수 있는 ‘따릉이’를 이용하게 된 것이다.
이에 서울시설관리공단은 “따릉이는 서울시민의 공공자산이기 때문에 통행 용도 외 영리 목적의 이용을 엄격히 금지한다”며 “적발시 민·형사 처벌을 포함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경고 공문을 배달 대행업체에 보냈다.
하지만 배달 대행업체 측은 구두로 주의를 주는 것 말고는 위반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고 전했다.
한 배달 대행업체 관계자는 “자전거로 배달할 수 있는 플랫폼이 늘며 문제가 대두된 것”이라며 “약관에 공공자산 이용 금지 조항을 넣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배달 대행업체뿐만 아니라 서울시 역시 뚜렷한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따릉이가 무인 시스템으로 운영되다보니 어떤 용도로 이용하는지 단속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에 누리꾼들은 “왜 자기 돈 버는 일에 공공재를 쓰지”, “너무 당연한거라 상상도 못했음”, “어이없네”, “근데 막을 방법이 있긴 해?”, “세상에 별 사람들 다 있다”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콘텐츠 저작권자 ⓒ지식의 정석 (무단 복제 및 재배포 금지)/사진 = 온라인커뮤니티,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