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바이러스’를 미세 바늘로 100번 찔러봤더니…

2020년 September 21일   admin_pok 에디터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미세바늘로 100번을 찌르고 90도가 넘는 열을 가해도 죽지 않고 멀쩡했다.

20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헝가리 세멜바이스대 연구팀이 지난 17일 학술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인 바이오아카이브(biorxiv.org)에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연구진은 코로나19 바이러스를 길이 약 80나노미터의 미세 바늘로 100번 찌른 후 그 변화를 관찰했다.

실험 결과 바이러스 입자는 바늘로 찔릴 때만 잠시 찌그러질 뿐 바늘을 빼는 즉시 원상태로 돌아왔고, 이를 100번 반복해도 바이러스의 전체적인 구조와 내부 물질에는 거의 영향이 없었다.

연구진은 바이러스가 바늘에 찔렸을 때 고주파수에서 1초에 300번 이상 빠르게 흔들린다는 점도 발견했다. 바이러스가 빨리 움직이면 숙주 세포를 찾는 것이 쉬워진다. 바늘로 찔렸을 때 오히려 바이러스의 전파력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열에도 끄떡이 없었다. 연구진은 코로나19 바이러스 입자를 90도로 10분간 가열했다. 하지만 일부 스파이크 단백질이 떨어져 나왔을 뿐 바이러스의 전체적인 구조는 그대로였다.

연구를 이끈 미클로스 켈러마이어 박사는 “코로나19는 자가치유성과, 내열성, 탄력성이 매우 강하다”며 “이런 기계적이고 자가 치유적인 특성이 코로나19를 광범위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코로나19는 전반적인 열 안정성도 매우 높았다”며 “코로나19가 에어로졸이나 물체의 표면을 통해 퍼져나간 사실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SCMP는 “바이러스는 보통 숙주를 떠나면 약해지지만, 코로나19는 며칠 동안 찬장 같은 물체의 표면에도 남아있을 수 있다”면서 “지금까지 알려진 바이러스 중 물리적으로 가장 탄력성 있는 바이러스”라고 평가했다.

코로나19의 강한 내성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는 앞서 프랑스에서도 나왔다. 프랑스 남부 엑스-마르세유대 연구팀은 지난 4월 한 시간 동안 섭씨 60도에 노출된 바이러스가 죽지 않고 동물 세포에서 복제될 수 있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SCMP는 이러한 연구가 발병 초기 예상과 달리 코로나19가 여름에도 대규모 확산된 이유를 보여준다고 했다.

한편 코로나19는 이런 특성들로 인해 첫 발병 후 약 9개월 만에 전 세계적으로 300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을 감염시키고 그 중 96만 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콘텐츠 저작권자 ⓒ지식의 정석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사진 = 연합뉴스, 게티이미지뱅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