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개당 750만원 이상이라는 100원짜리 동전 제조년도 공개 (+지폐)

  						  
 								 

원래의 가치를 아득히 벗어나 엄청나게 몸값이 높아지고 있는 희귀 동전들.

대한민국은 현재 100원짜리 동전 하나가 현재 무려 750만원까지 호가되고 있다.

근데 이 상황에서도 파는 사람이 나타나지 않고 있어 계속 가격이 오르고 있다.

과연 여러 동전들 중 어떤 동전이 몸값이 제일 높은 지 확인해보자.

10원 동전

10원짜리 동전은 1970년도 발행된 적색 동전이 무려 70만원으로 최고가이다.

같은 해 발행된 황색 동전도 30만원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 외 1969년-35만원, 1966년-30만원, 1967년-18만원 순으로 비싼 몸값을 보이고 있다.

100원과 500원

1982년도에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무광 처리가 된 100원짜리 동전이 발행됐다. 희소성이 매우 높아 750만원에 호가 되고 있으며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또 1970년도 발행된 100원짜리 동전은 현재 40만원으로 호가되고 있고 1981년도 발행된 100원짜리 동전은 30만원으로 호가되고 있다.

500원짜리는 1998년도 발행된 동전이 무려 100만원으로 호가되고 있는데 당시 IMF 상황으로 500원짜리 동전을 8천개 밖에 생산하지 않아 무척 희귀하다고 한다.

희귀 지폐는 일련번호를 확인하자

솔리드 유형

솔리드한 일련번호가 한가지 번호로 이루어진 것을 말한다. (예: 1111111)

솔리드는 기본이 50만원 이상에 거래되고 있으며 그 중 7솔리드(7777777)의 경우는 더욱 프리미엄이 붙어 100만원이 넘는 금액에 거래되고 있다.

특히 5천원권과 1만원권, 5만원권이 가장 고가에 거래되며 150만원을 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스트레이트 유형

말 그대로 일렬로 쭉 늘어선 번호를 뜻한다. (예: 1234567)

1부터가 아니더라도 ‘2345678’, ‘3456789’도 스트레이트에 해당된다.

밀리언노트 유형

백만단위로 딱 떨어지는 것을 말한다. 맨 앞자리를 제외하고 나머지 숫자 여섯개가 모두 0인 일련번호이다.

리피터 유형

리피터는 중간에 있는 숫자를 빼고 양쪽의 숫자 배열이 동일한 것을 말한다. (예: 1234123)

레이더 유형

레이더의 형태처럼 일련번호가 대칭의 형태를 띄는 것을 말한다. (예: 1234321)

위 일련번호들은 모두 희귀한 것이기 때문에 이런 일련번호가 찍힌 지폐는 무조건 쓰면 안된다.

또 발행된 연도에 따라서 더욱 프리미엄이 붙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직므 가지고 있는 지폐의 일련번호를 꼭 확인해보자.

콘텐츠 저작권자 ⓒ지식의 정석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사진 = 온라인 커뮤니티,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