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무비자 여행 풀리자마자 ‘노재팬’ 논쟁 다시 불붙은 이유

  						  
 								 

일본 무비자 입국 재개 뒤, 다시 터진 ‘노재팬’ 논쟁

일본 무비자 여행 재개된 후 노재팬 운동 재발
일본 무비자 여행 재개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막혀 있던 일본 무비자 입국이 2년 7개월 만에 열렸다.

여행업계 관계자들은 “노재팬이 불어닥치기 이전과 비교하면 딱 절반 수준”이라고 전하고 있다.

일본 여행 수요가 폭증하자 일부 시민들은 불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에 ‘노재팬 안 하냐vs바가지 씌우는 국내 여행할 바에는”이라는 의견들이 충돌하고 있다.

무비자 여행 풀리자 다시 불붙은 ‘노재팬’ 논쟁

일본 무비자 여행 규제 풀리자마자 노재팬 운동 다시 터진 이유
노재팬 운동 논쟁

11일, 2년 7개월 만에 일본 무비자여행이 재개된 뒤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와 각종 SNS에서는 “한국인들 벌써 노재팬 잊었네” 등 비난이 쏟아졌다.

일본에 전방위적이고 근거 없는 경제 제재로 고통을 격고 ‘혐한 테러’에 피해를 입고도 일본으로 날아가 돈 쓰는 꼴이 우습다는 비아냥을 받는 것.

그렇게 무시를 당하고도 기어코 여행을 간다는 게 이해되지 않는다는 비판도 이어졌다.

이렇게 상황이 흘러가자 반론도 들끓고 있다. 단순히 ‘관광’ 목적으로 가는 것이 이렇게 폄하 당할 일이냐고 반박이 생겼다.

한 누리꾼은 “제주도로 여행을 가면 갈치조림에 렌트카 하면 벌써 30만 원은 우습게 깨진다”라며 “국내 여행이 너무 비싸고 바가지가 있다 보니 가까운 해외로 가는데 그게 일본일 뿐”이라고 말해 공감을 얻었다.

문 정부 때 일어난 ‘노재팬 운동’

문재인 정부 일본 수출 규제 이후 터진 노재팬 운동 재발
문재인 일본 수출 규제

“노재팬을 이어가야 한다”라는 측과 “해외여행 갈 자유까지 빼앗지는 말아라”라는 의견이 충돌하는 도중에도 일본행 비행기는 뜨고 있다.

한편 2019년 7월 한국 대법원이 일제강점기 당시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으로 수출 규제를 시작했다.

당시 문재인 정부는 이런 일본에 맞서기로 결정했다. 이에 시민들 사이에서는 ‘노재팬 운동’이 일어났다. 일본 상품, 문화, 여행 등을 취급하지 않는다는 운동이었다.

콘텐츠 저작권자 ⓒ지식의 정석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사진 = 온라인 커뮤니티,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