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압사 참사에 대한 국민적 애도 분위기가 많아지고, 실제 정부까지 11월 5일까지 국가애도기간을 지정한 가운데 한덕수 국무총리의 행동이 도마 위에 올랐다. 한 총리는 외신 에디터간담회에서 이태원 참사와 관련된 질문을 받은 후 웃으며 농담을 던졌다.
지난 1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이태원 참사와 관련한 외신에디터 브리핑이 열렸다. 이날 정부 대표로 참석한 한덕수 국무총리는 ‘한국 정부 책임의 시작과 끝’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답한 뒤 통역 기기에 오류가 발생하자 “이렇게 잘 안 들리는 것에 책임져야 할 사람의 첫 번째와 마지막 책임은 무엇이냐”고 했다. 그는 사회자를 바라보며 농담 투로 말한 뒤 웃음을 지어보기도 했다.
한 총리는 ‘한국 정부의 책임’에 대한 질문에 “주최자가 더 분명하면 크라우드 매니지먼트(시민 통제)와 같은 문제들이 더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을 것”이라며 “현재 한국의 크라우드 매니지먼트에 대한 제도적 개선점이 있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확실히 고쳐서 주최자가 있든 없든 지자체가 자발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고 답했다.
이태원 참사 외신에디터 브리핑
이어 “경찰 수사로 책임질 사람이 나온다면 이는(당사자는) 당연히 책임져야 할 것”이라며 “필요하다면 제도를 고치고 여러 교육 등을 통해 우리가 이번 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인지하고)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는 것이 정부 첫 번째 책임이 아닌가”라고 설명했다.
또한 한 총리는 윤석열 정부의 참사 대응의 책임과 방식 등에 대한 질문이 이저지자 웃음을 지으며 “정부에게 이런 질문이 반복해서 오는데, 그럼 답변도 반복된다”라는 취지로 답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완전한 조치가 취해지지 못했다는 것은 명백하다”라고 말하며 “경찰은 이러한 대응을 하는 데 있어서 중추가 되는 기관인데 주최가 분명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고에 대한) 가능성, 잠재성이 있는지 제대로 확인되지 않았던 것 같다”며 경찰을 비판했다.
한덕수 총리 외신에디터 간담회
이태원 참사 외국인 사망자들에 보상은?
이날 자리가 외신에디터 간담회인 만큼 이태원 참사로 희생된 외국인들에 대한 윤석열 정부의 대우 역시 눈길을 끌었다. 한 총리는 ‘국내외 할 것 없이 동일하게 대우’하겠다는 입장이다.
한 총리는 “내국인 사상자와 외국인 사상자에게 동일한 대우를 해드릴 것이다”라고 말하며 “1대1을 원칙으로 보건복지부 인력을 전담식으로 배치해 생존자가 전담자에게 연락하면 원하는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된다”고 답했다.
또 한 총리는 이날 답변을 이어가던 중 외신에디터를 향해 “모든 질문을 받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전날 행정안전부가 시간 제약을 이유로 질문의 절반가량을 받지 않은 것과 사뭇 다른 분위기를 연출했지만 브리핑 중 부적절한 말투를 사용하고 웃음을 지어 비판이 예상된다.
앞서 지난달 29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일대에서 핼러윈데이를 앞두고 인파가 몰리며 대규모 압사 사고가 발생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1일 오후 6시 기준 사망자는 156명, 부상자는 157명으로 외국인 사망자는 26명이다.
한덕수 이태원 참사 총리 웃음 논란
외교부 당국자는 1일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외국인 사망자에게도 내국인과 동일한 2000만원의 위로금과 1500만원의 장례비용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김주영 에디터 <제보 및 보도자료 help@goodmakers.net 저작권자(c) 포스트쉐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사진 = 온라인 커뮤니티, M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