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압사 참사 당시 모바일 상황실 카카오톡 대화 충격적인 내용 공개

  						  
 								 

이태원 참사 당시 구급 단톡방 내 대화 공개

이태원 참사 당시 통제 안 되는 모바일 상황실 대화 내용 공개
신현영의원이 제공한 이태원 참사 당시 구급 단톡방 대화

이태원 압사 참사 당시 현장에서 구조 작업을 벌이던 관계자들의 메신저 대화 중 일부가 공개됐다. 당시 컨트롤타워 부재로 혼란스러운 상황이 그대로 담겼다.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8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에서 긴급 재난 상황에서 구조활동에 참여하는 모든 관계자가 공유하는 카카오톡 단체 대화방 일부를 공개했다.

대화 내용에 따르면 소방청 직원은 지난달 30일 참사 발생 2시간 24분 후인 오전 1시 39분에 “망자 관련해 남은 30여 명을 순천향병원으로 이송하기로 했다는데 수용 가능하냐”고 질문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현장 도착해 점퍼부터 갈아입었다

이태원 참사 당시 컨트롤타워 부재 상황 담긴 모바일 상황실 카톡 대화 내용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이에 중앙상황팀 관계자는 “이러지 마시라. 망자 지금 이송하지 마시라. 응급환자 포함 살아있는 환자 40여 명 먼저 이송한다”고 대답했다.

이후 오전 1시 45분 서울구급상황관리센터 직원이 “사망 지연 환자 이송 병원 선정을 요청한다”고 말하자 중앙상황팀 관계자는 “저희가 안 할 거다. 산 사람부터 병원 보냅시다. 제발”이라고 당부했다.

이후 3분 뒤 노란색 점퍼를 입은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의 사진과 함께 “복지부 장관님 나오셔서 현 상황 브리핑받고 계시다”는 글이 올라왔다.

신현영 의원 윤석열 대통령 ‘뒷북 지시’ 지적

이태원 참사 카카오톡 구조 단톡방 대화 내용 공개
이태원 참사 당일 모바일 상황실 대화

또 참사 발생 1시간 뒤 대화 내용에는 지난달 29일 오후 11시 10분 서울 구급상황관리센터 측에서 ‘해밀톤호텔 후면 쪽에 다수 사상자 발생’ 사실을 알렸다. 이어 중앙구급상황관리센터는 “동원할 수 있는 가용자원을 최대한 동원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중앙상황팀 직원들은 약 30분 뒤 “의료진 조끼를 입은 지원센터 인력을 경찰이 통제해 현장 진입이 안 된다” “이런 식이면 재난의료지원팀 출동 못 시킨다”고 호소했다.

이후 “신속대응반 지원센터 모두 현장 진입 못 했다”는 글까지 올라왔다. 신 의원은 “서울 한가운데서 사상자가 다수 발생해 모든 의료 지원을 다 투입해야 하는 급박한 상황임에도 의료진 조차 진입을 못 한 지옥이 펼쳐졌다”며 “그곳에 정부가 있었느냐”고 강력하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대통령이 7차례에 걸쳐 했다는 어떤 지시도 당시 상황을 총괄하는 온라인 상황실에 공지되지 않았다”며 “DMAT 출동을 지시한 시점에는 이미 5개의 DMAT가 출동한 그야말로 ‘뒷북 지시’였다”고 지적했다.

콘텐츠 저작권자 ⓒ지식의 정석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사진 = 온라인 커뮤니티,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