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한국인·한국계 이공계 교수만 3500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중 한국으로 귀국하지 않은 이유는 한국과의 ‘급여·복지 차이’이 주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매일경제는 ‘재미 한국인 고급 과학기술 인력 규모와 특성 분석 : 미국 대학에 재직 중인 과학 기술분야 인재를 중심으로’라는 보고서를 조사한 후 해당 사실을 전했다.
미국서 학생 가르치는 한국 이공계 교수만 무려 3500명
미국 MIT대학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기준 미국 대학에서 이공계 교수로 근무 중인 한국인·한국계만 3488명인 것으로 조사 결과가 나왔다.
조사자들은 한국 성을 기반으로 사람들을 찾아내고 이들에 대한 추가 정보를 파악해 한국 연고 과학기술자인지를 파악했다.
해외 대학에서 근무하고 있는 이공계 박사들은 매일경제를 통해 아래와 같은 입장을 내놨다.
박사들, 한국 정규직 비정규직 구분 짓는 현실 꼬집어
하늘에 던져진 학사모
이공계 박사들은 “연봉과 커리어 설계 차원에서 보면 미국과 한국의 차이는 상당히 크다” “국내 대학에 다닐 때 교수들이 우리 학계는 공급 과잉이니 알아서 살길 찾으라고 했었다” “전공 살려 일할 기회 자체가 부족해서 미국으로 왔다” “연구소나 산업계 모두 한국과 미국의 연봉 차이가 상당하다” 등의 입장을 밝혔다.
일부 박사들은 미국 연봉의 70~80% 수준만 받더라도 한국에서 근무하고 싶다는 의사를 내비치기도 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심하게 구분 짓는 한국의 사회적 분위기 탓도 적지 않았다. 한 박사는 “한국은 정규직이 아니면 실패한 인생으로 낙인을 찍고 실적에 집착하기 때문에 지칠 수밖에 없다”고 현실을 토로했다.
강익철 에디터 ⓒ지식의 정석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사진 = 온라인 커뮤니티,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