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경찰이 욕 먹을 수 밖에 없는 이유

  						  
 								 

온라인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일명 신림동 원룸 사건.

해당 사건 범인이 자수하면서 사건을 일단락되는 듯 보였지만 이 사건은 다시 도마 위에 올라왔다. 경찰들이 피해자에게 했던 행동과 사건을 대처하는 태도가 현재 논란이 되고 있다.

우선 신림동 원룸 범인은 경찰이 직접 체포한 것이 아닌 자수를 통해 검거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추가로 공개된 영상에서 당시 현장에 출동했던 경찰관들의 안일한 태도가 문제되고 있다.  지난 29일 채널A ‘뉴스A’는 ‘신림동’ 사건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의 모습이 담긴 CCTV 영상을 보도했다.

방송에 따르면 28일 오전 6시 28분 피해 여성과 여성을 미행한 남성이 빌라로 들어갔고 14분 후 출동한 경찰 두 명이 빌라 앞에 나타났다.

6시 40분에 “누군가가 벨을 눌러요”라는 신고를 접수한 경찰은 긴급 출동을 뜻하는 ‘코드 원’ 지령을 받았던 상황이었다. 코드 원은 생명 혹은 신체에 대한 위험 사건에 발령되나 출동한 경찰관들은 전혀 긴급해 보이지 않았다.

경찰관들은 코드원임에도 불구하고 건물 안으로 들어가 현장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았으며 주머니에 손을 넣은 채 건물 주변만 두리번 거리며 거리를 배회했다.

딱히 수상한 점을 발견하지 못한 경찰관들은 피해자에게 다시 전화를 걸어 “지금도 수상한 사람이 벨을 누르고 있나”라 물었고 지금은 누르지 않는다는 말을 들은 뒤 주변만 살폈다.

당시 출동했던 관할서 관계자에 따르면 “밖에 이상한 사람이 없어 주변을 수색했고 CCTV 확인되면 그때 다시 알려달라고 안내하고 돌아갔다”고 입장을 밝혔다.

그러고 나서 출동한 경찰들은 밖에만 둘러보고 3분 만에 현장을 철수했다.

사건 당일 범인은 피해 여성 문 앞에서 10분을 서성였고 계속해서 노크를 하거나 벨을 누르는 행동을 보였으며 도어락 비밀번호를 알아내기 위해 휴대전화 손전등을 비춰보기까지 했다.

이에 시민들은 만약 경찰이 출동했을 때 범인이 건물 어딘가에 숨어있어 상황을 보고 있었다면 경찰이 돌아간 후 이는 더욱 큰 피해로 돌아갈 뻔했다고 지적하고 있는 상황이다.

콘텐츠 저작권자 ⓒ지식의 정석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사진 = 온라인커뮤니티, 채널A 방송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