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들은 강제로 설치해야 한다는 어플의 정체
국방부가 병사들에게 강제로 설치하게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논란이 되고 있다.
병사들이 강제로 설치해야 하는 ‘국방모바일보안’이 병사들의 사생활을 과도하게 침해한다는 것.
국방부가 병사들에게 어플을 설치하게 한 이유는 카메라나 녹음 등을 제어해 기밀 누출을 막겠다는 취지다. 휴대전화의 촬영, 녹음, GPS 기능 때문에 군 시설 위치나 형태 등 기밀 정보다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하지만 통제가 수위를 넘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휴대폰 작동이 느려지고 배터리가 빠르게 소모될뿐만 아니라 삭제가 어렵고 권한이 지나치게 비대하다는 것.
실제로 어플을 설치하면 카메라, 녹음, 와이파이 연결 등이 제한되고, 경고 없이 바로 휴대폰의 데이터를 초기화할 수 있는 권한까지 부여돼 휴대폰이 갑자기 초기화될 수 있는 위험도 감수해야 한다.
이에 아무리 군대라고 통제가 너무 지나치다며 병사들보다 간부들 휴대폰에 먼저 설치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계속되는 혹평과 지적에도 국방부는 “조만간 간부가 쓰는 휴대폰도 통제할 예정이니 억울해하지 말아라” 등의 말을 해 더욱 논란이 되고 있다.
한편 해당 앱을 만드는 데 약 35억 5천만원의 예산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여전히 보안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콘텐츠 저작권자 ⓒ지식의 정석 (무단 복제 및 재배포 금지)/사진 = 온라인 커뮤니티,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