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도 수십번씩 삐-하고 울리는 재난문자, 이어폰 끼고 있던 사람들은 소스라치게 놀라곤 한다.
놀란 마음으로 읽어본 재난문자, 하지만 막상 다른 지역 소식이었다.
이와 관련해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도 “재난문자 다른 지역도 오나요?”, “충북 살지도 않는데 다른 지역 재난문자가 계속 와요”, “서울인데 왜 경기도청에서 재난문자가 오나요?” 등의 문의글이 쏟아졌다.
국민재난안전포털에 따르면 2월 한 달간 2천577건의 재난문자가 발송됐으며 이는 1월 발송량 134건의 19배를 넘는 수치이다.
하지만 너무 과도한 재난문자 발송이 오히려 시민들의 불안감과 피로도를 높이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는 “급박한 상황에서 국민에게 재난 상황을 알려주는 것은 굉장히 바람직하다”면서도 “이러한 피로감이 증가하면 정말 긴요하고 중요하고 그 사람이 즉각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정보를 무시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왜 자꾸만 다른 지역 재난문자까지 오는 것일까?
사실 재난문자는 거구지가 아닌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이동통신사 기지국을 거쳐 일괄 발송되고 있었다. 기지국 중심이다보니 전파 도달 거리에 따라 다른 지자체 재난문자를 받는 경우가 빈번한 것이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현재 위치와 인접한 지차제 내 기지국 전파가 수신될 경우 다른 지역 재난문자를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재난문자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거주지와 다른 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정작 사는 동네 알림을 받지 못한다. 또 기술적 문제로 국제표준에서 제외된 3G폰 이용자나, 2G폰 일부 이용자도 재난문자를 받을 수 없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행안부는 ‘안전디딤돌’이란 앱을 제작해 배포하고 있다. 아울러 보다 정확한 재난문자 수신이 가능하도록 SK텔레콤과 함께 발송 범위를 수백 미터로 줄일 시스템 구축을 위해 협의 중에 있다.
이동경 우송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지자체별 확진자 수 등의 정보를 일괄적으로 모아서 하루 오전 또는 오후에 두 차례 정도씩 한꺼번에 정리해서 보내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라고 조언하기도 했다.
콘텐츠 저작권자 ⓒ지식의 정석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사진 = 연합뉴스, 지식의 정석 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