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과실 100대0 나오기 싫으면 무조건 찍어야 하는 사진 4가지
사고 당해서 억울해 죽겠는데 책임까지 물으라고?!
교통사고 시 사진 촬영 팁 내 잘못이 하나도 없는 교통사고가 발생해도 사진 하나 잘못 찍으면 내 과실도 올라가도 심하게는 피해자인 내가 가해자가 될 수도 있다.
이런 상황을 명확하게 해결해 줄 수 있는 교통사고 시 반드시 찍어햐 하는 증거사진 찍는 방법 4가지를 알아보자.
교통사고 나면 찍어야 하는 4가지 사진
차량 접촉사고 사진촬영 팁 1. 사고 현장 원거리 촬영
사고 현장 원거리 촬영 20m~30m 떨어진 지점에서 현장 전체를 먼저 촬영해야 한다. 전체적인 사고 사진뿐만 아니라 도로 상황, 진행 방향등과 함께 차가 잘 보이도록 찍어야 한다. 차가 미끄러진 스키드 마크가 있다면 차가 나오도록 같이 찍어줘야 한다.
2. 타이어 방향대로 찍기
타이어 방향대로 찍기 바퀴나 핸들의 방향을 통해서 사고 당시 각 차의 이동 방향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꼭 찍어야 한다. 이는 가해자와 피해자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니 꼭 잊기 말고 찍어둬야 한다.
3. 차량 파손 부위 근접 촬영
차량 파손 부위 근접 촬영 사고 부위를 자세히 찍어야지 상대 차량과 내 차의 충돌 세기와 차량 속도를 추정할 수 있는 증거가 된다. 또 사고로 인한 파편 등 다 놓치지 말고 찍어야 한다
4. 상대 차량의 블랙박스 찍기
상대 차량의 블랙박스 찍기 요즘 블랙박스 설치가 되지 않은 차량은 찾기 힘들다. 그러나 상대방이 원래부터 자기 차에는 없었다고 주장하면 힘든 싸움이 되기 때문에 사진으로 증거를 남겨야 한다.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실제 사고가 나면 뒷 차들도 신경쓰이고 첨 겪는 상황이라 당황해 제대로 대처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콘텐츠 저작권자 ⓒ지식의 정석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사진 = 온라인 커뮤니티, 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