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오류’ 틈타 북한이 해킹 시도한 정황 포착
북한, 카카오 화재 틈타 해킹 시도한 사실 드러나…
수상한 포즈, 느낌 김정은 해킹 사실 진단 지난 주 카카오가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일명 ‘카톡 먹통’ 사태가 발생한 가운데 북한이 그 틈을 타 해킹을 시도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하루도 안 돼 북한의 해킹 시도가 확인되면서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를 활용한 다른 해킹 시도도 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이 같은 북한의 충격적인 정황은 18일 미국 자유아시아방송을 통해 공개됐다.
공식 자료로 보이는 파일 든 메일로 다운로드 유도, 카카오 관련 피싱 내용
카카오톡팀 이름으로 발송된 피싱 메일 내용 보도에 따르면 북한 업계 종사자 및 일부 탈북민은 카카오 서비스 장애 발생 하루 뒤인 16일 ‘[Kakao] 일부 서비스 오류 복구 및 긴급 조치 안내’라는 제목의 피싱 이메일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발송된 이메일 주소에는 ‘카카오팀(account_support@kakaocorps.com)’이라는 계정이 적혀 있었다.
발신자는 데이터센터 화재 사건 경위를 언급하면서 “PC버전 카카오톡의 원활한 이용을 위해 업데이트된 PC버전의 카카오톡을 이용하시길 바란다”며 ‘KakaoTalkUpdate.zip’이라는 파일을 첨부해 다운받도록 유도했다.
카카오 입장 “사칭 전자우편은 처음.. 개인정보, 파일 첨부된 이메일 보내지 않아”
한국 사회 카카오 이슈 활용해 공격하는 북한 해커들 이에 대해 카카오 측은 “카카오가 발송하는 전자우편은 계정을 포함해 개인정보를 요구하지 않고 파일을 첨부한 형태의 전자우편도 보내지 않는다”며 발송된 이메일이 거짓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또 카카오 관계자는 “사칭 전자우편은 처음 접수된 사례다. 카카오를 사칭한 전자우편을 통해 계정 정보 등 개인정보를 탈취하려는 시도가 있을 수 있다”고 당부했다.
공식 카카오 계정처럼 보이는 메일에서 이 같은 내용이 오면 일반인들은 눈뜨고 코 베이는 상황을 겪을 수밖에 없다.
국내 보안전문가들 “북한이 아주 신속정확하게 한국 사회 이슈 활용” 진단
국내 보안전문가들은 이번 해킹 메일을 북한의 소행으로 진단했다.
문종현 이스트시큐리티 이사는 RFA와 통화에서 “북한이 기존 공격보다 더 높은 성공률을 확보하기 위해 한국의 사회적 이슈를 신속하고 정교하게 활용했다”고 말했다.
또 “전국민이 사용하는 인터넷 서비스 마비가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북한이 이번 기회에 학습했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판교 데이터 센터 화재를 계기로 한국의 정보통신, 데이터 기반 산업과 관련한 여러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북한이 사건을 계기로 공개되는 각종 정보를 활용해 다양한 형태의 해킹 시도를 감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콘텐츠 저작권자 ⓒ지식의 정석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사진 = 온라인 커뮤니티,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