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후 이태원 할로윈 참사 과정을 실제 모형으로 재현한 일본 뉴스 방송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 누리꾼들도 굉장히 직관적이 분석적이라고 반응하고 있다.
TV아사히 계열의 뉴스 통신사 ANN은 지난달 31일 ‘왜 참사가 발생했나… 사망자 154명 군중 눈사태 현장 재현’이라는 제목의 보도를 통해 이태원 할로윈 참사 사고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뤘다.
ANN은 뉴스 스튜디오에 사고가 발생한 서울 용산 이태원 골목 경사도 10%(경사각 5.7도)의 비탈길을 재현한 구조물을 배치했다. 또 비탈길 위 1㎡ 안에 실제 사람 크기만 한 9개 마네킹을 다닥다닥 세웠다.
이태원 참사 골목 ‘저절로 몸이 앞으로 기울 정도’
일본 ANN뉴스 이태원 참사 재현 분석
코마츠 야스시 아나운서는 “화면 상으로는 완만해 보이지만 실제로 올라가 보니 저절로 몸이 앞으로 기울 정도의 경사다. 휠체어 슬로프보다 2배 정도 기울어져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문가들은 1㎡에 10명 이상이 들어가면 군중 눈사태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제 눈앞에는 마네킹 9구가 놓여 있다. 제가 이 안으로 들어감으로써 10명이 된다. 실제로 느껴지는 감각으로는 바로 앞 사람의 후두부가 밀착돼 있고 몸을 움직일 수 없다. 상당한 압박감이 든다”고 전했다.
코마츠 아나운서는 “지금 서 있는 9구의 마네킹은 마른 체형이지만 실제 사람들은 두꺼운 옷을 입은 채 소지품도 갖고 있어 압박감이 훨씬 심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또 “발밑이나 전방도 안 보이다 보니 경사도 역시 실제보다 더 가파르다고 느낄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이태원 참사 원인, 허리 숙여서 발생 경사는 덤
마네킹들 사이 허리 숙이는 일본 아나운서
이어 코마츠 아나운서는 밀착된 군중이 중심을 잃고 앞으로 쏠리게 된 원인을 분석한 전문가들의 견해를 설명했다.
마네킹 사이에서 허리를 숙인 그는 “서로 몸을 지탱하고 있기 때문에 잘 넘어지지 않지만 누군가 허리를 숙이거나 땅에 떨어진 걸 주우려고 하면 주위에 있던 사람은 지탱해주던 몸이 갑자기 사라져서 넘어질 수 있다. 때문에 앞에 있던 사람도 함께 넘어지는 등 도미노 현상처럼 우르르 쓰러진다. 경사가 있기 때문에 그럴 수밖에 없다”고 판단했다.
또 “50kg의 압력이 가해지면 사람은 답답함과 공포를 호소하게 된다. 많은 사람이 쓰러져 포개질 때 제일 아래에 있는 사람에겐 수백kg의 압력이 가해진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국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사람이 강한 압력에 노출될 시 헐류가 제한돼 30초 뒤 의식을 잃고 약 6분 만에 죽음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해당 보도 장면을 본 국내 누리꾼들은 “이건 정말 한 번에 와닿는다” “아날로그가 좋은 대표적인 예” “시연하는 건 아날로그가 훨씬 직관적이구나” “모든 건 다 장단점이 있구나”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콘텐츠 저작권자 ⓒ지식의 정석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사진 = 온라인 커뮤니티, 일본 유튜브 ‘ANNnews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