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2010년 재선 당시 준비했던 ‘서울항 조성 사업’을 재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서울시가 최근 서울 시의회에 제출한 내년도 예산안 47조 2,052억원 가운데에는 ‘서울항 조성사업’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머니투데이 보도에 따르면 ‘서울항 조성사업’ 예산에는 기본계획 및 타당성 조사 용역비로 6억 원이 편성됐다. 예산안에 명시된 중장기 주요 사업은 △서해뱃길 주운수로 구상 △한강 맞춤형 선박 도입 △한강 수상교통 △문화관광자원 개발 및 연계방안 등이다. 시는 사업 목적에 대해 서울의 핵심 랜드마크이자 주요관광자원인 한강을 시작으로 경인아라뱃길과 서해를 연결하는 서해뱃길을 조성해 시민 여가활동의 선택 폭을 확대하고 품질도 높이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사업 목적에 대해 서울의 핵심 랜드마크이자 주요관광자원인 한강을 시작으로 경인아라뱃길과 서해를 연결하는 서해뱃길을 조성해 시민 여가 활동의 선택 폭을 확대하고 품질도 높이겠다는 입장이다.
오세훈 서울시장
또 해외 관광객 유치와 한강 수상교통 체계 확립 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사업의 효과로 제시했다. 시 한강사업본부 관계자는 “서울에서 중요한 랜드마크인 한강을 주요 관광자원으로 만드는 것”이라며 “과거 국토교통부와 협의했던 사안을 다시 연계해 추진한다는 맥락에서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오 시장 역시 지난해 서울시의회 시정질문에서 ‘한강 르네상스 시즌2’ 공약과 관련해 “경인아라뱃길의 선착장이나 물류 기지가 적재적소에 배치돼 물류와 관광 측면에서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항 조성사업은 오세훈 시장이 해외 관광객 유치와 시민 여가 공간 마련 등을 효과로 내세워 추진한 바 있다. 2011년 착공해 2013년 완공 예정이었으나, 지난 2012년 박원순 전 서울시장이 취임하며 백지화됐던 사업이다.
서울시 항구 조성사업
‘서울항 조성사업’ 반박에 부딪힐 것으로 예상
하지만 오세훈 시장의 서울항 조성사업은 반대에 부딪히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환경연합은 지난 9일 성명을 내고 서울항 조성 사업에 반대 의사를 표했다.
김동언 서울환경연합 생태도시팀장은 “큰 배들이 오가면서 미치는 생태계의 악영향과 수질오염 문제는 경인아라뱃길만 보더라도 충분히 확인됐다”며 “서울항까지 조성해 뱃길을 연결한다고 중국관광객이 몰려들진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울환경연합은 “정권이 바뀌었다고 경인아라뱃길 사업이 성공한 사업이 되지 않듯, 서울항을 조성해 뱃길을 연결한다고 중국 관광객이 몰려들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또 “한강 밤섬이 람사르습지로 지정된 지 10년인데, 한강은 밤섬과 같은 생태적 공간이 더 많이 필요하다”며 “불필요한 시설을 끌어들이느라 행정과 자원을 낭비하지 말고, 가능한 많은 공간을 자연에 돌려줘야 한다”고 촉구했다.
콘텐츠 저작권자 ⓒ지식의 정석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사진 = 뉴스1, 온라인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