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백두산 폭발의 우려
우리나라는 환태평양 조산대에서 한발 떨어져 있어서 지진에 비교적 안전한 편이지만 (2015)
9월 경주 지진으로 우리나라에 큰 지진이 발생할 수 있음이 증명되었고 (2016)
일본 아소산에 36년 만의 분화가 발생했다. (2016.10)
그리고 최근 한두 달 사이에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해서 (2016)
다른 나라에서 지진이나 화산이 크게 발생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하고 있는 중이다. (2016)
뭐 어쨌든 백두산은 대략 백년주기로 분화가 발생하고 (2016)
천년주기로 폭발을 한다는 설이 있어서 (2011)
백두산 폭발 가능성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알아보도록 하자.
2. 백두산과 북한 핵실험
우리나라의 지진발생지점을 볼 때 백두산은 상당히 안전한 편이고 (2010)
대형 단층대에서 약간 떨어져 있어서 폭발 가능성이 덜한 편이다. (2016)
그럼에도 백두산 폭발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는 북한의 핵실험 때문으로 (2016)
핵실험에서 발생하는 인공지진의 충격파가 (2016)
백두산의 마그마 방을 건들지 않을까? 하는 우려 때문이라고 한다. (2016)
그리고 북한의 5차 핵실험 이후 (2016)
3일 만에 경주 지진이 발생해서 (2016)
(확실한 것은 아님. 반대 의견도 많음)
북한의 핵실험이 경주 지진의 원인일 수 있다는 우려도 있는 편이다. (2016)
2. 백두산과 북한 핵실험 요약
1) 백두산은 지진 발생이 비교적 적은 안전한 곳임.
2) 그럼에도 백두산 폭발 우려가 나오는 이유는 북한 핵실험 때문임.
3) 핵실험의 인공지진이 백두산의 마그마 방을 자극한다는 우려가 있음.
3. 백두산 폭발 가능성
북한의 풍계리 핵실험장은 백두산과 130 km 거리로 비교적 먼 편이지만 (2016)
백두산의 마그마 방 규모가 서울의 2배 면적으로 추정되고 있어서 (2016)
북한의 핵실험은 백두산의 마그마 방을 직접적으로 건드릴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북한이 지속적으로 강도 높은 핵실험을 반복하면
백두산이 진짜 폭발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편이다.
그리고 백두산의 온천수 온도가 1990년도에 69도였는데 최근 83도로 많이 상승했고 (2015)
헬륨 농도도 과거에 비해 많이 상승했다고 하고 (2010)
한반도의 진도 2 이상 지진 발생 빈도가 상승 추세라 (2014)
혹시라도 폭발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조금씩 생기고 있는 것이다.
3. 백두산 폭발 가능성 요약
1) 백두산의 마그마 방은 풍계리 핵실험장과 가까울 것으로 추정 중임.
2) 온천수 온도 상승, 헬륨 농도 상승이 백두산 분화의 징조라고 함.
3) 한반도의 지진 빈도가 상승추세인 것도 걱정스러운 부분임.
4. 백두산 폭발 시 피해규모
만약에 백두산 천지 밑의 거대한 마그마가 갑자기 폭발한다면 (2015)
북한 북부와 중국 만주지역에 엄청난 재앙이 될 지도 모르는 편으로
용암, 화산석, 화산재의 직접적인 피해가 우려된다고 한다. (2011)
그리고 백두산 폭발 시 우리나라에 발생할 피해는 주로 화산재 피해인데
날씨 운이 좋으면 화산재 피해는 전부 일본으로 날아가고 (2010)
날씨 운이 나쁘거나 폭발 규모가 엄청나게 클 경우 우리나라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편이다. (2013)
하지만 최악의 경우라 하더라도 우리나라의 피해는 11조 원 정도로 (2015)
백두산 폭발 시 가장 큰 피해는 북한과 중국이 보는 것이다.
4. 백두산 폭발 시 피해규모 요약
1) 화산이 폭발하면 용암, 화산석, 화산재 피해 등이 발생함.
2) 백두산 폭발 시 북한 북부와 중국 만주 지역에 재앙이 발생할 수 있음.
3) 우리나라와 일본은 화산재 피해를 보는데, 바람의 방향에 따라 피해가 달라짐.
출처 – 온라인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