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1년 심리학자인 윈스롭 켈로그 박사는 ‘자연’과 ‘문화’중 어린아이의 발달에 어느게 더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 있었고 “침팬지를 사람처럼 키우고 먹이고 가르치고 대우한다면 침팬지가 사람이 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들었다.
그래서 직접 실험을 해보기 위해 ‘구아’라는 이름의 아기 침팬지를 집으로 데려왔고, 10개월 된 아들 도널드 켈로그의 동생으로 삼아 아들을 대하듯 같은 식탁에서 식사를 하게 하고, 같은 방법으로 양육했다.
같은 환경에 같은 조건으로 자란 침팬지와 인간 아기 결과는 어떻게 됐을까?
먼저 윈스롭 박사는 실험 기간 날마다 키와 몸무게, 혈압을 재고 지각과 운동기능을 시험했다. 심지어 두개골 차이까지 기록하기 위해 머리를 두드렸을 때 어떤 소리가 나는지도 알아봤다.
놀라운 것이 있다면, 인간인 도널드보다 침팬지 구아가 같은 조건에 있었음에도 인간의 환경에 잘 적응했고, 더 나은 모습을 보였다는 것이다.
구아는 도널드보다 먼저 대변을 가리고 말을 더 잘 따랐고 입맞춤으로 용서를 청하는 행위까지 했다.
인간인 도널드는 구아처럼 대변을 가리거나 하는 등의 일은 못했지만, 단 한가지 능력은 우월했는데 바로 ‘모방’이었다.
구아가 장난감을 발견하고 가지고 놀면 도널드는 구아의 행동을 그대로 따라하는 행위를 했는데..
윈스롭 박사에게 고민거리가 생긴다.
도널드가(또래 아이들과는 달리)언어적인 진전을 보이지 못했다는 것인데, 당시 19개월의 도널드는 사용할 줄 아는 낱말이 세 개뿐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실험을 종료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도 생기는데, 말을 하지 못하는 구아는 배가 고프면 짖는 소리를 내어 음식을 달라고 한 것을 본 도널드가 똑같이 따라했다는 것이다.
이 사건은 ‘매드사이언스북’에서도 소개됐는데, 책 저자는 “아마 침팬지가 인간처럼 자란 것이 아니라 반대로 아이가 침팬지처럼 자랐기 때문에,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라고 한다.
이렇게 실험은 종료되고 구아는 동물원으로 보내져 어미를 만났는데, 침팬지들과 사는 것을 힘들어했고 이듬해 죽고 만다.
반대로 다시 인간 친구들과 어울리게 된 도널드는 언어 능력이 빠르게 향상되었고, 나중에 하버드대학 의대에 진학해 정신과 의사가 되었으나, 부모가 죽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42세)
환경의 영향이 아무리 중요하다 해도 타고난 유전 요인을 결코 무시할 수 없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이다.
[wpna_related_articles title=”보면 볼수록 재밌는 인기글 TOP 3″ ids=”68981,66750,70476″]<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