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인과 서양인의 시각차이 보여준다는 문제들
대부분의 동양인과 대부분의 서양인의 시각차이를 보여주는 문제들.
여러분은 이 둘중에 무엇을 묶으시겠습니까?
![]()
![]()
![]()
동양인들의 시각.
그리고 서양인들의 시각.
![]()
![]()
동양인들은 대부분 원숭이+바나나를
서양인들은 대부분 원숭이+판다를 묶었다.
이는 동양 언어는 동사를 강조하기에 원숭이가 바나나를 먹는다라고 생각한 반면 서양 언어에서는 둘다 동물이다라고 명사를 강조했다.
그럼 이번에는..
이 가운데 소년이 행복해 보이시나요?
그렇다면 아래 사진의 소년은 행복해 보이시나요?
먼저 서양인의 시각.
![]()
![]()
![]()
행복해 보인다는 서양인의 시각.
그러나
![]()
행복해보이지 않는다는 동양인의 시각.
이는 서양의 개인주의적 관점과 동양의 집단주의적 관점 차이라고 합니다.
서양인들은 개인의 행복을 중시한다면, 동양인들은 주위사람들 관계를 중요시 하기 때문이죠.
다음 물체를 닥스라고 부른다면..
아래 물체 중 닥스는 어떤 것일까요?
먼저 동양인의 시각.
![]()
![]()
![]()
같은 재질이라고 생각되는 물체를 고른 동양인의 시각.
반면 서양인의 시각은
![]()
![]()
![]()
![]()
재질은 상관없이, 모양을보고 물체를 고른 서양인의 시각.
이 같은 실험을 종합해보면 서양은 각각의 개체를 가리키는 명사를 중심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동양은 전체적 맥락 속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을 가리키는 동사를 중심으로 세상을 바라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서양화와 동양화의 차이에서도 이를 알 수 있는데.
![]()
![]()
![]()
![]()
따라서 서양 아이들이 그린 그림을 본다면.
![]()
대부분 이런 그림들이고.
동양 아이들이 그린 그림을 보면
![]()
이런 그림들이다.
서양 아이들은 자신이 서거나 앉은 곳, 바라보는 곳을 그대로 표현했고, 동양 아이들은 하늘에서 땅을 바라보듯 표현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위 그림처럼 풍선이 땅에서 위로 갑자기 솟아 올랐다면, 여러분들은 왜 그랬다고 생각하시겠습니까? (헬륨 풍선이 아님)
동양인들은 대부분 바람이 불어서 풍선이 바람을 타고 올라갔다고 생각을 했다.
하지만 서양인들은 대부분..
![]()
풍선 속의 바람이 빠져서 올라갔다고 생각했다.
여기서도 알 수 있는 것이
동양인들은 대부분 항상 무언가는 주변의 작용으로 무언가가 탄생한다고 생각하고 있고
서양인들은 대부분 무언가의 안에 있는 것들의 작용으로 자신 스스로 탄생한다고 생각한다.
[wpna_related_articles title=”보면 볼수록 재밌는 인기글 TOP 3″ ids=”66750,70270,69909″]
2018. 콘텐츠 저작권자 ⓒ지식의 정석 (무단 복제 및 재배포 금지)/사진 = 온라인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