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외국식 나이와 자신의 한국식 나이가 헷갈렸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나이 계산 방식은 다른 국가들의 방식과 완전히 다르다.
우리는 태어난 시점부터 1살이 되고, 생일이 아니라 해가 지나면 1살이 느는 방식이다. 하지만 해외의 경우, 태어나고 1년이 모두 지나야만 1살이 되며, 또한 생일을 기준으로 나이를 계산한다.
때문에 외국과 비교해서 한국식 나이가 1~2살 많은 경우를 빈번하게 볼 수 있다.
유명 유튜버 아시안 보스는 길거리로 나가 한국인들에게 한국식 나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다.
인터뷰에 응한 대부분 시민들은 한국식 나이와 외국식 나이 사이에서 혼동한 경험이 있다고 답변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만 2가지 방식이 있기 때문에 외국처럼 외국식 나이로 계산을 해야한다는 의견도 상당했다.
실제 지난 1월 SBS 뉴스가 공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어떻게든 나이 셈법을 통일해야한다”는 의견이 92.4%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 중에서 외국식 나이인 만 나이를 선호한다는 의견이 61.8%로, 38.2%를 차지한 한국식 나이 셈법보다 훨씬 높았다.
그러나 이미 우리나라식 나이 계산이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해 “바꾸기 쉽지 않을 것 같다”고 답한 시민들도 적지 않았다.
사실 우리나라의 나이 계산 방식은 중국에서 내려온 것이다. 중국식 나이 계산이 우리나라와 일본 등 동아시아 전반에 퍼졌으나, 이후 중국과 일본은 외국식 나이 계산 방식으로 바꾼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시민들은 “한국에서는 나이가 되게 중요하다”며 자신이 겪은 경험담을 털어놓았다.
한 남성은 “나이에 비해 경력이 많다. 하지만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거래처에서 쉽게 볼 수 있다”고 말했으며, 다른 여성 역시 “나보다 입사를 늦게 한 사람이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승진했었다”고 밝혔다.
한국식 나이 계산법은 이미 오래 전부터 뿌리깊게 자리잡은 문화이기 때문에 몇 년 사이에 바뀌긴 쉽지 않다. 하지만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2가지 나이 계산법을 가지고 있어 사람들에게 혼동을 주는 만큼, 나이 계산법 통일에 대한 요구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2018. 저작권자(c) 지식의 정석 (무단 사용-재배포 금지) / 사진 = 유튜브 아시안 보스, SBS 뉴스
놓치면 후회할 기사 더보기
정신적 고통을 앓는 사람과 심리적 불안감을 털어놓는 곳이 정신병원이다.
몸이 아파 병원을 찾는 것 처럼 마음이 아플 때 찾아가는 곳이 정신병원이지만 대부분 사람들은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
최근 정신병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더욱 심화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치료중이라던 아들, 알고보니 2년 전 사-망│
위 타이틀을 읽는 순간, 머리가 띵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지적장애를 가진 20대 아들을 정신병원에 입원시켰던 어머니가 뒤늦게 아들이 숨진 사실을 알게 되었다. 가장 먼저 소식을 접해도 모자를 판에 2년이 지나서야 알게 된 아들의 충격적인 소식.
“아들이 머리를 벽에 박고, 집에서 탈출하고…그러다 제가 암이라는 걸 알게 됐어요. 수술은 해야 되는데 맡길 데는 없어서..”
지난 2013년, 강모 씨는 홀로 힘들게 키워온 21살 아들을 정신병원에 입원시키게 된다.
지적장애를 앓던 아들이 날이 가면 갈수록 자해 행동이 더욱 심해지는데다 강모 씨 마저 암 진단을 받게 되면서 정신병원을 선택한 것이다.
아들 상태가 더욱 심해지자 몇 차례나 병원 옮겨 다녀야했던 강모 씨.
상태가 좋지 않은 아들이 엄마 얼굴을 보면 호전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면회조차 자주 못 가게 된 것이 화근이었다.
그러던 중, 새로 옮긴 병원에서 아들 신원을 확인해달라며 사진을 보내왔다. 하지만 해당 사진은 강모 씨의 아들이 아니었다.
이에 강모 씨는 병원 측에 우리 아이는 어디있느냐고 물어봤으나 들려오는 대답은 충격적이었다.
│아들은 2년 전에 세상을 떠났으며 병원에서 화장까지 다 치뤘다는 것│
청천벽력같은 소리에 해당 병원 관계자는 3년 전, 강모 씨가 병원을 옮기는 과정에서 강 씨 아들과 증상이 비슷한 이 모씨와 환자 차트가 바뀌었다는 말을 했다.
정신병원 입원 시 보호 의무자를 통해 환자 신분을 확인해야 하지만 제대로 지키지 않은 것이다. 병원 측은 당시 환자를 이송한 직원이 누구였는지 정확히 확인할 수 없다고 전했다.
강모 씨는 변호인과 함께 경찰 고소를 검토 중에 있느나 복지부는 신분증 미확인이나 차트가 뒤바뀐 것만으로는 처벌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2018. 콘텐츠 저작권자 ⓒ지식의 정석 (무단 복제 및 재배포 금지)/사진 = SBS 뉴스